1. 보건증 발급 기관 (병원? 보건소?)
2. 보건증 발급 방법
3. 보건증 검사 항목(피도 뽑나요?)
카페 아르바이트나 식음료와 관련된 일을 하려면 꼭 필요한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원래 보건소에서 검사 및 발급이 이루어졌던 보건증 관련 업무는 코로나를 이유로 잠시 중단되어
일반 병원에서 발급업무를 진행했었는데,
최근 들어 위드코로나가 시작되고 중단됐던 보건소 업무들이 하나 둘 복귀하는 시점.
그렇다면 보건증은 이제 어디에서 발급받아야 할까요?
1. 보건증 발급 기관 (병원? 보건소?)
보간소 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렇듯 보건소 업무 재개 안내가 되어있지만
단계적으로 재개한다는 글 외에 다른 정보는 없어 난해하기만 합니다.
검색을 해도 나오는 내용은 없고, 안내 아래에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검사 병원에 대한 정보까지 있으니
"아, 아직 보건증은 병원에서 발급받아야 하나보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제 보건증 발급 업무는 보건소에서 다시 진행합니다!
(사전에 관할 보건 예약도 가능하다고 하니 전화문의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보건증은 어떤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을까요?
2. 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선 꼭 신분증을 지참해 관할 보건소에 방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발급받는 식품분야 보건증은 결핵, 장티푸스, 전염성피부질환 검사를 하게 되며 3,000원이 소요됩니다.
3. 보건증 검사 항목(피도 뽑나요?)
일반적으로 식음료를 취급하는 곳에서 필요한 보건증은 식품분야 보건증으로 결핵, 장티푸스, 전염성피부질환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유흥분야나 학교급식 보건증이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 필요)
식품분야 보건증의 경우 체혈은 따로 없으며, 일반적으로 사람이 몰리는 경우가 아니라면 5~10분 내외로 모든 검사를 마치실 수 있습니다.
보건증은 검사 이후 평균 5일 정도 소요되며 검사하신 보건소에 방문 혹은 인터넷으로도 발급 가능합니다.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보건복지부 운영 온라인민원 서비스,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동네보건소정보, 보건교육신청 등 안내
www.e-health.go.kr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동행카드 출시!! 누가, 얼마나 타야 이득일까? (구매, 사용, 적용 노선까지) (1) | 2024.02.05 |
---|---|
BTS 데뷔 10주년 'BTS 페스타!' 보라한 서울의 6월! (0) | 2023.05.30 |
2023 여의도 불꽃축제 소식! (0) | 2023.05.28 |
제대로 된 CPR(심폐소생술) 방법! 배울 수 있는 곳까지! (0) | 2023.05.07 |